자동차를 운행하다 보면 아무리 교통법규를 잘 지키고 방어운전을 하더라도 약한 접촉사고가 종종 생성하곤 한다. 이와 같은 운전사고가 나타나는 경우, 큰 사고가 아닌 약한 접촉사고라면 경찰에 접수하기보다는 통화하고 출동한 보험사직원들에 의해 과실비율이 정해지고 보상 및 차량수리비용 등에 관한 내용을 조정하는 것으로 사고정리를 하는 때가 흔히이다. 그런데 이같은 경미한 교통사고를 당했을 때 당장 몸에 이상이 있지 않고 특별히 쑤시는 곳이 없다는 이유로 의료기관을 이용하지 않고 생략하는 경우가 상당한데, 이는 자칫 후회 할 선택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고 한다.
대구의 어느 한의원 원장은 '운전사고가 무서운 것은 대형사고 시 당하는 큰 인명피해도 물론이지만, 약한 충돌사고와 같이 겉으로 보이는 외상없이 시간차를 두고 점점 노출되게 되는 사고후유증 때문이다. 바로 몸이 통증이 있는 곳이 서울 광진구 교통사고 한의원 없다 하더라도 병원 또는 한의원을 방문하여 확인를 통해 신체적 이상 유무를 검사하는 것은 결코 과한 것이 아니다'고 이야기했다.
이어 '문제는 일반적인 육체적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수단인 X선 촬영나 CT촬영, MRI(자기공명 영상장치)검사 등의 방법의 경우 약한 사고로 특별히 드러난 외상이 없는 환자에게는 운전사고 후유증의 징후를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데 있을 것이다. 따라서 미미한 접촉사고로 부상은 없지만 뒤 나타나는 사고 후유증에 대한 진단 및 치료를 받는 환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고 말했다.
이어 '이같은 후유증의 발생 원인으로 어혈을 가르킨다. 사고 순간 충격으로 생성한 어혈이 기간을 두고 체내의 혈액순환 등을 저지하는 과정에서 몸 이곳저곳에 통증 및 이상 증상을 야기한다는 것으로 이를 조취하기 위해 침, 부항, 추나와 같은 다양한 한방처방를 환자 개별적인 특징을 고려하여 적용해야 한다'고 한다.
한편 '교통사 환자에 대한 한방처방에 대해 자동차보험 적용이 됨에 따라 환자 자신 부담 없이 사고 후유증 등에 관한 처방를 받을 수 있으며, 접수할 때 사고접수번호 또는 보험담당자 연락처 제시를 통한 어렵지 않은 검사으로 적용 받을 수 있을 것이다'고 덧붙였다.